Book

【Book】 <졸업선물> EP.006 답을 찾기 위한 숫자 100

센마 2025. 8. 26. 22:37
반응형

 


006 답을 찾기 위한 숫자 100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어렸을 때부터 많이 듣는 말이 하나 있습니다.
 

공부해라

 
빠르면 유치원을 다니는 시점부터
학원을 다니기도 하며
청소년이 되었을 무렵에는 
공부가 인생의 일부가 되어버립니다.
 
고등학교 진학 이후에도
더 높은 학문을 탐구하기 위해 
대학교 혹은 대학원에 진학하기도 합니다.
 
혹자는 이렇게 공부를 열심히 한다면
삶이 윤택해지고 발전하며
인생이 잘 흘러갈거라 생각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선택지가 넓어지며 맞는 말이지만
대학교까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공부해온 것이 잘맞는지, 
과연 내가 체화 시킨 것이 맞는지 
의문을 품기도 합니다.
 
그에 대한 답이 무엇인지 찾아갈 때
도움이 될 만한 <졸업선물>의 에피소드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00이라는 숫자

 

한 권의 책을 쓰려면 100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100권 정도만 읽으면 뉴턴의 명언처럼 지(知)의 거인들의
어깨에 올라서서 조금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는 것일까? ... 내 박사 논문에도 100개가 넘는 논문 및 교과서를 인용했으니
100이라는 숫자는 상당히 설득력 있는 것 같다. 

 
어렸을 적에 100이라는 숫자가
가장 큰 숫자로 알고 지낼 만큼
무언가를 크게, 많이 표현할 때
자주 사용했던 숫자였는데요.
 
성인이 되어서도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자면, "내가 100번이라도 해봤나?"
라는 질문을 통해 좀 더 노력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기도 하는 것처럼요.
 
<졸업선물>에서도 논문을 썼던 일화를
통해 100이라는 숫자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굳이 한 가지 방법이 아니더라도

 

누군가 인생의 정답을 구하고 싶다면 바를 정(正) 20개 즉 100번의 공부를 완성하라고 말해주고 싶다. 
... 절대 한 가지 방법에만 집착할 필요가 없다. 경험을 통해 깨닫고 삶의 울림이 있다면 어떤 것이든지 좋다.

 
100번의 공부를 완성하라고 하였을때
사람마다 반응이 다르겠지만 대부분은

좋아. 100권의 책을 읽어보겠어!

 
가장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이 듭니다.
<졸업선물>에서는 반드시 한 가지 방법에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있는데요.
 
영화든, 책이든, 여행이든 간에 
단순히 횟수 채우기가 아니라
하나하나 '제대로'경험이해
강조해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처음에 언급하였던 문제의
원인이 여기 있다고 보는데요.
공부를 하였지만 제대로 체화되지 않은
이유는 제대로 된 경험과 이해가
부족했다고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나에게 체득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100번의 경험치를 온전하게 축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를 언급하면, 어떤 방법으로 공부를 하였던지 간에 내가 이해하고 느낀 점을 타인에게 말을 통하든 글을 통하든 반드시 전해봐야 한다.
... 대부분이 많이 공부했음에도 삶에 큰 발전이 없는 이유 중 하나는 머리로는 이해했지만 마음으로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온몸으로 깨우치고 그 전율이 타인과 공진될 때 그리고 배운 것을 꼭 내 이야기인 것처럼 풀어 나갈 때 우리는 체득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제대로 체득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궁금해집니다.
 
<졸업선물>에서는 그 방법을
내가 이해하고 느낀 점을 타인에게
전해보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공부를 하고 선생님의 설명을
들었을 때에는 정말 쉽기만 했던
문제들이 혼자서 풀어볼 때에는
어려워지는 경험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동영상을 통해서 배운 의료지식을
막상 타인에게 전하려고 하면
원리나 순서에 대해서 말하지 못하고
버벅거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번에 익히는 것은 어려우며
열심히 여러 번 되풀이해서 읽고
또 다시 보면서 나만의 것이 생겨난다는
말에 공감이 되었는데요.
 
설명을 할 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이 깨달은 것까지 전할 때에
그제서야 비로소 체득했다 할 수 있다고
<졸업선물>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100이라는 숫자는 기준에 따라서
크기도 하지만 작기도 한데요.
 
여러분은 어떤 기준에 대입해보셨나요?
 
인생을 살아가다보면
가끔 답을 찾고 싶을 때가 생겨납니다.
혹은 제대로 해온 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기도 하고 새롭게 태어나고 싶기도 하죠.
 
그러한 변화를 이루어내고 싶을 때
이 100이라는 숫자를 만나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졸업선물> EP 006. 답을 찾기 위한
숫자 100에 대한 포스팅이였습니다.
 
좋은 감상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